우선 포털사이트가 아닌 SNS(유튜브 포함)를 활용하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10대는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궁금하여 SNS를 주로 활용하고, 여성과 20대 층에서는 SNS 공유 정보가 더 많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40~50대는 영상물로 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SNS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궁금한 내용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 SNS 및 유튜브로 정보 탐색을 하는 주된 결과로 나타납니다.

SNS 이용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SNS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최근 3년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0대와 남성에서 특히 유튜브의 이용률이 높고, 20~30대와 여성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은 10대의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밴드는 50대층의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흥미위주 또는 유용한 콘텐츠를 얻기 위함과 킬링 타임용으로 이용하는 비중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인스타그램은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지인 또는 친구와의 교류 등 커뮤니티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취미와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 취미나 관심사 공유, 흥미위주 또는 유용한 콘텐츠를 보기 위한 SNS 이용률은 유지되는 반면, 지인이나 친구와의 교류 용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NS에서 선호하는 콘텐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진 또는 이미지는 가장 많이 선호하는 콘텐츠이지만 선호도가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이며, 2~3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 형태의 콘텐츠 선호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30대층에서 2~3분의 짧은 영상을 가장 선호하고, 사진 또는 이미지는 여성층에서의 선호도가 높은 성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글로된 콘텐츠는 여성 또는 40대층의 선호가 높고, 라이브 영상 및 스트리밍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선호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거부감 또는 신뢰감 낮은 게시물의 형태는 실제 후기를 가장한 홍보 게시물에 대해 가장 큰 거부감을 나타내며 긴 설명의 게시물에 대한 거부감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실제 후기를 가장한 홍보 게시물을 올리는 쉬운 길로만 홍보 활동을 하는 업체나 기업이 많습니다. SNS를 통한 마케팅을 제대로 하려면 꾸준히 트렌드를 분석하고 각 연령층과 성별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오픈서베이 <소셜미디어와 검색포털에 관한 리포트 2020> 리포트를 활용하여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