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기획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드립니다
- 생각의 힘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트렌드 변화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트렌드 변화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트렌드의 키워드는 온라인과 스마트워크 가속화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쇼핑, 교육, 건강 서비스까지 온라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근무하는 스마트워크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소비 형태의 온라인화

기존 오프라인 활동을 주로 하던 40~60세대가 소비를 온라인으로 옮김에 따라 오프라인 업체의 매출이 감소되고 있습니다. 향후 오프라인에서는 특화된 업태(코스트코, 다이소 등)나 오프라인(당구장 등)에서만 가치를 누릴 수 있는 업체만이 생존하게 될 것입니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오프라인 업체가 주도권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대형 오프라인 업체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엮으려는 시도가 지속될 것입니다. 또한 온라인 업체의 성장으로 점차 배달라이더 등의 플랫폼 노동자는 자연스럽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습니다. 자영업자들은 권리금과 임대료가 없고, SNS나 유튜브, 네이버 등의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다면 오프라인보다 훨씬 비즈니스 환경이 좋은 온라인에서 영업하는 비율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자상거래 소비 품목의 다양화

코로나19 감염 예방,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등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라 온라인 소비 품목이 다양화 되었습니다.

마스크, 위생장갑 등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개인위생용품과 손 소독제, 세정제 등 항균 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병원 방문을 자제하면서 진통제, 소화제, 기침약 등 일반의약품 소비가 늘었으며, 코로나19 증상 판별을 위한 체온계 판매량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면역력 강화를 위한 비타민, 허브추출물 등 건강기능식품과 공기청정기, 의류관리기, 청소기 등 청정가전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주로 소비되던 생활필수품이 전자상거래 시장으로 이동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소비되던 과일, 채소, 육류 등 신선식품과 휴지, 비누 등 생활용품의 전자상거래 판매 비중이 급증하였습니다. 특히 저온 및 실시간 배송 인프라의 확충이 온라인 식료품 시장 성장의 뒷받침이 되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전자상거래 트렌드> 참고

고령층 쇼핑 증가

과거 매장에서 실물을 직접 보고 거래하는 것을 선호하던 고령 인구가 온라인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IT기기와 인터넷 사용에 능숙한 ‘실버 서퍼(Silver Surfer)’가 중요 전자상거래 고객층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젋은 세대에 비해 경제수준과 구매력을 갖춘 고령층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소비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고령층 쇼핑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납니다.

한국무역협회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전자상거래 트렌드> 참고

그동안 전자상거래의 회원가입, 전자 결제 등 번거로운 절차는 고령 소비자에게 진입 장벽으로 작용했으나, 오프라인 쇼핑이라는 대안이 없어지자 자녀 및 지인의 도움을 받아 온라인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고,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 시장의 다양한 품목, 우수한 품질 등을 경함함으로 향후에도 전자상거래 사용을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워크로 인한 근무 형태 변화

코로나19로 인해 스마트워크는 새로운 근무형태로 기업문화를 빠르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택근무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컴퓨터, 모니터 등 IT제품과 오피스용품 소비가 늘었으며, 온라인 강의 수강이나 영상통화를 위한 스마트기기 및 영상회의 서비스 사용이 급증하였습니다.

홈코노미 활성화

사회적 거리두기, 이동 제한 조치 등으로 인해 외출과 대면 접촉이 불가능해지면서 홈코노미(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제활동)가 활성화 되었습니다.

운동시설, 레스토랑, 헤어숍 등 서비스 시설 이용이 제한되자 소비자들이 직접 홈 피트니스, 요리, 피부관리, 미용 등에 나서면서 관련 제품 소비가 증가하였습니다.

넷플릭스, 틱톡 등 온라인동영상 서비스나 반려동울용품, 장난감 및 게임용품, 정원 관리용품 등 집안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 활동과 관련된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브랜딩은 무엇이며 비즈니스에 왜 중요한가?

캠브리지 사전은 브랜딩을 “회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광고하기 위해 특정 디자인이나 상징을 회사에 부여하는 행위”로 정의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것은 브랜딩에 대한 매우 정확한 설명이었습니다. 그러나 브랜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