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주목하는 신인류 소비자 MZ세대란 무엇일까요? MZ세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Z세대란, 밀레니얼(Millennials)의 M과 제네레이션(Generation)의 Z가 합쳐진 말입니다. M세대는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 출생한 세대로 정보기술(IT)에 능통하며 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Z세대는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원주민)’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 MZ세대는 2019년 기준 약 1,700만 명으로 국내 인구의 약 34%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우리’를 더 중시했던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자기애가 더욱 강한 MZ세대는, 스스로의 만족을 중시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투입하는 돈이나 시간을 아끼지 않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MZ세대 사이에서 발생된 트렌드가 사회 주류 문화로 자리잡는 데까지는 약 1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MZ세대를 상당히 중요한 소비자 타깃층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5~39세 사이의 연령층인 이들은 생산과 소비 능력이 가장 좋은 세대로서 모든 서비스와 재화의 주요 이용 주체가 되고 있습니다.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이들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추구하는 가치관과 생각은 어떠한지 알아야 합니다.
대학 내일 20대연구소가 공개한 MZ세대를 상징하는 5개 키워드인 ‘다만추세대’, ‘후렌드’, ‘선취력’, ‘판플레이’, ‘클라우드 소비’를 통해 MZ세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추는 ‘다양한 만남을 추구한다’라는 뜻으로, ‘인만추’(인위적인 만남 추구), 자만추(자연스러운 만남 추구)등에 이은 새로운 개념입니다.
후렌드는 ‘WHO+Friend’를 합친 말로 온라인에서는 누구와도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SNS DM(다이렉트 메시지)으로 연애를 하는 등의 파격적인 추세를 나타냅니다.
선취력은 ‘先취력’이란 의미로 원하는 바를 이뤄내기 위해 촛불집회, 국민청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판플레이는 놀이판의 ‘판’과 놀다는 ‘플레이(play)’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콘텐츠를 단순히 보는 행위에서 끝나지 않고, 댓글을 달거나 직접 참여하는 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나의 놀이판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뜻합니다.
클라우드 소비는 구매보다는 구독을 통한 공유의 개념을 뜻합니다. 원하는 순간 딱 원하는 만큼만 니즈가 충족되길 바라는 소비로, 소유보다도 공유로 소비 밸런스를 맞춘다는 뜻입니다.
트렌드를 만들고 이끌어 가는 MZ세대의 성공적인 마케팅 사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BTS가 정상에 오를 수 있었던 이유
얼마전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에서 1위에 오른 기염을 토한 방탄소년단(BTS)은 이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얼굴이 되었습니다.그들의 활약은 음악 역사에 기록될 만큼 위대한 것이라 말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와 영국에서는 그들을 향해 ‘비틀즈의 계를 잇는 그룹’이라고 할 정도입니다. ‘아미’라는 BTS의 공식 팬들은 자신이 선망하는 스타의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책을 읽고 공부를 하며, 외국의 팬들은 한국말을 배워 언어의 장벽과 국적을 넘어 함께 소통합니다.

BTS가 세계적인 그룹이 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MZ세대의 트렌드와 맞아 떨어진 마케팅 전략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빅히트’는 BTS 데뷔 초기, 자금력이 충분하지 않아 대형 기획사와 다른 마케팅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멤버 각자에게 자신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그대로 찍어 SNS를 통해 팬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했고, 팬들과 소통 또한 소속사 직원들이 아닌 멤버들이 직접 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로 인해 많은 팬들이 SNS를 통해 ‘직접’ 좋아하는 스타와 글을 주고받을 수 있었고 BTS 멤버들 또한, 그들의 피땀 어린 연습 과정과 매일매일 노력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팬들에게 전할 수 있었습니다.
국가나 인종에 구애받지 않고 ‘다만추’로 이루어진 BTS의 팬클럽인 ‘아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고, BTS 관련 콘텐츠를 꾸준히 구독하며 공유함으로 MZ세대의 모든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미’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활동이 BTS가 세계적인 그룹이 된 원동력이라 볼 수 있습니다.
화제가 된 #아무노래챌린지
지난 1월, #아무노래챌린지가 세간의 화제가 되었습니다. 가수 지코가 발매한 노래 ‘아무 노래’ 신곡을 홍보하기 위해 만든 챌린지가 트렌디한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처럼 번진 사례입니다. 아무노래챌린지는 노래에 맞춰 춤추는 지코와 유명 연예인들이 함께 춤을 추는 모습을 짧은 영상으로 담아 공개한 챌린지였습니다. 아무노래 챌린지가 인기를 끌자 일반인들 역시 SNS 속 해시태그와 함께 아무노래 챌린지에 도전했다. #아무노래챌린지는 9만건 이상의 참여를 끌어내며 성공한 사례로 반년이 지난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시태그 챌린지는 주인공이 되기를 주저하지 않는 MZ세대의 특성으로 더욱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MZ세대는 영상을 찍고,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공간에 공유하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일에 주저하지 않습니다. 소셜 미디어의 팔로워 수가 곧 자신의 영향력이 되는 것을 경험한 MZ세대는 디지털 공간에서 관심을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누구보다 능합니다.
OTT 시장에 뛰어든 월트 디즈니
이제는 고객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먼저’ 찾아주고, 원하는 것들을 ‘즉시’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한 때입니다. 이런 것을 가장 빠르게 개척해 나가고 있는 것이 바로 OTT 서비스시장입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일명 ‘스트리밍 서비스’로 알려진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말합니다.
월트디즈니는 주요 고객인 어린이와 젊은 여성은 TV보다는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점점 더 선호하는 추세로 인해 도태 위기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디즈니 플러스’라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2019년 11월 개시하여 OTT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OTT 시장은 이미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애플을 비롯하여 왕좌의 게임, 프렌드 등의 인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HBO 맥스’를 인수한 ‘AT&T’ 또한 올해 초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미 OTT 시스템을 갖춘 콘텐츠 유통 업계의 승부는, 이제부터 양질의 콘텐츠를 누가 더 많이 확보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는 더더욱 사용자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시대입니다. 사용자가 자주 접하는 디바이스의 환경, 주류 문화와 관심사가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