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은 영역이 없는 접미사”
앞서 “[기획노하우1]기획 개념 정리”에서 살펴본 것처럼 누구나 알게 모르게 기획을 하며 살아가며, 직군마다 기획의 정의와 명칭들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기획의 종류를 명확하게 정리하긴 어렵습니다.
사업 기획, 광고 기획, 마케팅 기획, 홍보 기획, 상품 기획, 콘텐츠 기획, 사이트 기획, 출판 기획, 공연 기획, 프로그램 기획, 건축 기획, 이벤트 기획 등 접미사처럼 뒤에 붙으면 모두 기획이 되기 때문에 기획의 종류는 너무나 다양하고 종류는 셀 수도 없습니다.
신상품을 개발한다고 가정한다면 ‘신상품 기획’만으로 기획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품 개발 기획, 상품 생산 기획, 상품 판매 기획, 상품 마케팅 기획, 상품 홍보 기획 등등 신상품 개발 프로젝트 하나에도 여러가지 기획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상품 마케팅 기획은 상품 이벤트 기획, 상품 온라인 기획, 상품 오프라인 기획 등 기업의 여건과 상황에 따라 다시 세분화될 수 있는 것이 기획입니다.
위의 모든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기획서가 사업 기획서이므로 기획은 명확한 영역 또한 없습니다.
이와같이 기획은 사업 전체를 통칭할 때도 있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세분화하여 각각 기획으로 칭할 때도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정해진 영역없이 접미사로 기획만 붙이면 기획이 되는 것입니다.
정해진 영역도 없고 사업 영역에 따라 명칭도 다르지만 기획의 시점과 동기, 목적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므로 기획의 종류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획의 시점에 따른 분류
기획의 시점에 따라 정리형과 예측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정리형 기획
정리형 기획은 과거를 기준으로 이미 진행된 일에 대해 현황을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에서 월별, 분기별, 년도별 판매 또는 영업 실적을 정리하여 보고하는 것이 정리형 기획에 속합니다. 꼭 기업이 아니더라도 정리형 기획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월별 또는 분기별로 어떤 글 조회수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 반응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기획하는 것은 블로그 운영에 굉장히 중요한 방법입니다.
예측형 기획
예측형 기획은 현재를 기준으로 앞으로 진행될 일에 대해 예상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측형 기획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과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현재를 조사하여 그 조사한 내용을 기준으로 기획을 진행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코로나 사태와 같이 과거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기획을 할 경우에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현대는 너무 빠르게 변화하고,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에 항상 현재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어야 제대로된 기획을 할 수 있습니다.
기획의 동기에 따른 분류
기획의 동기에 지시형, 동기형, 제안형 기획으로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지시형 기획
지시형 기획이란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과제를 제시하고 기획을 요구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기획서가 대부분 지시형 기획에 의해 진행됩니다. 지시형 기획을 진행할 경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상사가 제시한 과제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상사가 원하는 결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기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기형 기획
지시형 기획과 반대로 동기형 기획은 타인의 지시 없이 스스로 문제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작성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사원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기획서를 작성하여 상사에게 보고하는 기획서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회사 뿐만 아니라 1인 기업이나 유튜버와 같이 크리에이티브가 생존 전략이 되는 사업 형태에서는 동기형 기획으로 꾸준히 기획을 하지 않으면 사업이 발전할 수 없습니다.
제안형 기획
제안형 기획이란 영업활동의 일환으로 고객에게 사업, 상품 등을 제안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에이전시에서 기획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여기에 포함됩니다. 제안형 기획의 경우 고객의 사업과 요청에 따라 기획의 종류가 다양해 집니다.
제안형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시형 기획에서와 같이 고객이 제시한 과제의 목적이 무엇이고, 고객이 원하는 결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기획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획의 목적에 따른 분류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분류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에 따른 분류로, 창조형 기획, 개선형 기획, 영업형 기획, 실시형 기획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창조형 기획
창조형 기획이란 신상품과 신규사업, 신규 시스템 등 새로운 것을 만드는 기획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상품 개발을 위한 상품 기획이나,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대한 기획 등 크리에이티브한 성격의 기획이 창조형 기획에 포함됩니다.
모든 기획에서 필요하겠지만 특히 창조형 기획은 현재 트렌드를 파악하고 미래의 트랜드까지 어느 정도 추측을 할 수 있어야 기획할 수 있는 분류입니다.
개선형 기획
개선형 기획이란 현재 업무 시스템이나 현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 현상의 개혁에 관한 기획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데 반응형 홈페이지가 아닐 경우 반응형 홈페이지로 수정할 수 있도록 기획을 하는 것이 개선형 기획에 포함됩니다. 요즘 홈페이지를 PC 버전으로만 접속하는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모바일이나 태블릿에서 접속하는 사람을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그럼에도 반응형 홈페이지로 개선하지 않는다면 홈페이지를 형식적으로 구현해 놓은 것에 불과합니다.
영업형 기획
영업형 기획이란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한 기획을 의미합니다. 영업형 기획은 기업의 판매라인에 따라 온오프라인으로 나뉠 수 있고, 이미 구성된 시장에서을 중심으로 영업 기획을 할 것인지, 새로운 시장 개척을 중심으로 기획할 것인지, 아니면 둘 다 필요한지에 따라 기획 내용이 나뉠 수 있습니다.
실시형 기획
실시형 기획이란 이벤트나 행사를 실시하기 위한 기획을 의미합니다. 실시형 기획의 경우 이벤트 회사에서 주로 많이 기획하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도 자주 기획됩니다.
예를 들면 기업에서 창립기념일 행사를 위한 기획이 실시형 기획에 포함되며, 기업 뿐만 아니라 유튜버가 몇만 구독자 달성 기념 이벤트를 기획하는 것도 실시형 기획에 포함됩니다.
마음을 버리지 않는 정직한 사업활동을 하고자 합니다.
비즈니스 기획서비스 전문 기업, ㈜아이린앤컴퍼니 http://irenecompany.com
주문제작형 고퀄리티 워드프레스홈페이지 제작 전문, 워드프레서 http://wordpresser.co.kr
무엇이든 기획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드립니다, 생각의힘 https://thinkingpower.co.kr